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Scroll down

Experiences

주요실적

View More
 
 
 

SaeSeoul Claim

News

관련뉴스

View More

광양 창고 화재 사흘째 진화 중…"한 달 이상 걸릴 수도"

전남 광양 물류창고에서 발생한 화재 진화 작업이 사흘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지난 13일 오전 8시 38분 광양시 도이동 한 창고에서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불이 났습니다.

현재까지 광양소방서와 광양시청, 유관 기관 등 인력 155명과 장비 41대가 투입돼 큰 불길을 잡았으나 내부에서는 불꽃과 연기가 지속해 발생하고 있습니다.

물에 닿으면 불꽃이 더 발화하는 알루미늄 특성 탓에 진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창고에는 750㎏ 규모 알루미늄 대형 자루(톤백) 4천여 개가 쌓여 있는데, 이번 불로 200여 개가 불에 탔습니다.

2천여 개는 창고 인근으로 반출됐고, 800여 개는 소방 당국이 굴삭기를 이용해 옮기는 중이며 나머지 1천여 개는 현장에서 연소할 것으로 보입니다.

소방 당국은 열과 산소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팽창 질석을 살포하고 있습니다.

광양소방서는 화재 발생일 관할 소방서 인력 전체가 출동하는 '대응 1단계'를 발령하고 현장 지휘소도 설치했습니다.

광양시 관계자는 "물이 닿으면 발열 반응을 일으키는 특성 탓에 진화가 장기화할 것"이라 "소방 당국은 2023년 함평의 알루미늄 분말 공장에서 발생한 화재가 17일 만에 진화된 점 등을 고려하면 진화까지 30일 이상이 걸릴 수도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광양시는 매연·분진·미세오염 물질의 장기 확산에 대비해 시민들에게 차량 운행 시 도로 우회, 가정 내 창문 닫기, 외출 시 마스크 착용 등을 준수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당국은 물류창고에서 알루미늄 부산물을 보관하게 된 경위에 대해서도 조사할 예정입니다.

정인화 광양시장은 페이스북에 "발화 물질은 창고에 불법 보관된 알루미나드로스라는 폐기물"이라며 "진화작업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5/0001292510?sid=102

2025.09.16

'방심'이 대형 인명피해 낳는다…'덕트 화재' 끊이지 않는 이유

#1. 지난 3일 오전 경기 안양시 동안구 지하 4층~지상 9층 규모 상가건물 한 음식점에서 덕트(배기 설비) 내부에서 불이 나 30여분 만에 꺼졌다. 이 불로 70대 여성과 30대 임신부 등 7명이 연기를 흡입하는 등 부상을 입었다. 또 120여 명이 각각 지상과 옥상으로 대피하는 등 불편을 겪었다.

#2. 올해 1월 3일 오후 성남시 분당구 지하 5층~지상 8층 규모 복합건물 1층 음식점에서도 주방 튀김기 과열로 발생한 화재가 덕트를 타고 건물 전체로 옮겨붙어 1시간 20여분간 지속됐다. 당시 240명이 구조되고, 70명이 대피하는 등 자칫 대형 인명 피해로 번질 수 있었으나 소방 당국이 발 빠르게 대응해 중상자는 나오지 않았다.

9일 경기도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올해 6월까지 도내 덕트 화재 발생 건수는 239건, 부상자는 20명이다.

올해 기준으로는 상반기까지 작년 건수(166건)의 절반에 가까운 73건이 발생했다. 덕트 화재가 매년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는 의미다.

덕트 화재는 기름과 불씨가 만나 순식간에 확산하는 특성이 있다. 특히 좁고 밀폐된 주방에서는 연기와 불길이 빠르게 퍼져 대형 인명 피해를 낳을 가능성이 크다.

경기소방은 덕트 화재를 막기 위해선 △조리 중 자리 비움 금지 △조리 후 환기시설 가동 △후드·덕트 정기 청소 등 예방책을 필히 준수해야 한다고 당부한다.

김재병 본부장은 "주방 덕트 화재는 한순간에 수십 명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숨은 시한폭탄'"이라며 "잠깐의 방심이 걷잡을 수 없는 불길로 번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경기소방은 지난 4월 KBS '불편해도 괜찮아' 프로그램에서 정지선 셰프와 함께 조리 과정을 시연하며 덕트 화재 위험성을 알린 바 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473769?sid=102

2025.09.11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는 '과실'…공장장 등 4명 송치(종합)

근로자 수천명의 고용 위기를 촉발한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는 '사람의 과실이 빚어낸 재난'(人災)으로 규명됐다.

경찰은 올해에만 5차례 반복됐던 동일 화재의 재발 방지를 소홀히 한 회사 관계자들에게 형사 책임이 있다고 결론 내렸다.

광주경찰청 형사기동대는 4일 업무상과실치상 및 업무상실화 혐의로 불구속 입건한 A씨 등 금호타이어 임직원 4명을 검찰에 송치한다고 밝혔다.

이들 4명은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의 공장장(50대), 소방·안전 분야 책임자(40대) 및 관리자(30대) 등으로 화재를 예방해야 할 업무상 주의의무를 다하지 않은 혐의를 받는다.

광주 광산구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에서는 지난 5월 17일 오전 7시 2분께 화재가 발생해 부상 3명(직원 1명·소방관 2명) 등 인명피해가 나고 정련동 등 주요 생산설비가 소실됐다.


화재는 정련동 2층에 있는 약 10㎡ 크기의 산업용 오븐 장치에서 시작한 것으로 확인됐다.

타이어 원재료인 생고무를 예열하는 해당 장치에서 발생한 화재는 이번 사건 이전에 최근 5년간 17회(올해 5회) 반복됐고, 불이 소방설비 등에 의해 자동 진화된 사례는 단 2차례에 그쳤다.

그런데도 사측은 정밀 분석과 점검, 위험성 평가 등 재발 방지를 위한 근본적인 대책 없이 재료 및 설비 관리를 해 온 것으로 조사됐다.

화재 발생에 대비한 오븐 장치 안팎의 자동소화설비 및 확산방지장치는 점검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정상 작동하지 않았다.

소방·안전 교육과 훈련은 일부 직원을 대상으로만 형식적으로 이뤄졌다.

화재 경보와 방송 전파의 사각지대 탓에 신속한 전파가 이뤄지지 않아 뒤늦게 대피하던 직원이 중상을 입은 것으로 파악됐다.


다친 직원은 정련동 3층 내 휴게실에 머물고 있었다. 그는 화재 발생 17분 뒤 동료가 보낸 카카오톡 메시지를 보고 불이 난 사실을 인지했다.

3층 휴게실 등 일부 공간에는 경보·방송 장치가 설치되지 않았고, 시설 경비와 급식 조리 등에 종사하는 근로자 일부도 화재 경보와 대피 방송을 듣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오븐 장치에서 어떻게 불이 시작됐는지는 화재 규모가 크고 피해가 광범위한 탓에 끝내 규명하지 못했다.

해당 장치는 1차 가공을 마친 합성고무를 취급한 다른 오븐들과 달리 잡풀 등 이물질이 섞인 생고무를 전담했다. 이물질에 열이 가열되면서 불꽃이 튀었을 것이라는 분석은 추정 단계에서 더 나아가지 못했다.

경찰은 이 때문에 원재료 관리를 담당한 직원의 신병 처리 방향을 현재 검토 중이다.


초기 수사 단계에서 절차적으로 입건했던 대표이사에게는 범죄 혐의점이 없다고 판단했다.

산업안전보건법 등 관련 법규는 안전 책임자를 공장장으로 규정하는 데다, 대표이사와 부사장 등 경영자들은 안전 분야 현안을 직접 챙기지 않아 이번 사고에 직·간접 책임이 없는 것으로 결론 내렸다.

박동성 광주경찰청 형사기동대장(총경)은 "이 사건 화재와 인명 피해는 공장 측이 가능성과 위험성을 충분히 예견할 수 있는 상태에서 필요한 주의 의무를 다하지 못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수사 결과를 발표했다.

금호타이어는 대형 화재로 가동을 멈춘 광주공장을 부분 복구해 올해 안에 재가동하고, 2028년 1월을 목표로 전남 함평 신공장 이전도 추진하고 있다.

2023년 말부터 시작된 대유위니아 경영 악화에 금호타이어 대형 화재까지 더해지면서 광산구는 고용위기 선제대응지역에 지정됐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5605274?sid=102


2025.09.04

협력업체

닫기
TOP